티스토리 뷰
안녕하세요! JHyunE입니다!!
저어어어엉말 오랜만에 포스팅하네요ㅎㅎ
대학교에 입학하고 생각보다 바쁘게 움직여서 블로그를 소홀히 관리했네요ㅜ(핑계ㅋㅋ)
오늘은 라즈베리파이에 OpenMediaVault(OMV)를 설치해보려 합니다!
갑자기 왜 라즈베리파이냐?! 방학 때 라즈베리파이 교육도 있고 취미 삼아해 보려고 구입했습니다ㅎㅎ
따끈따끈하게 어제 강의 끝나고 놀기 삼아 독산역 근처에 있는 ICbanQ 본사에 방문 수령하고 왔습니다.
제가 구입한 파이는 '라즈베리파이 3B+' 모델입니다!(설명은 패스~)
추가 구입으로 방열판과 파워서플라이(뭐 이리 어렵게 말해!! 그냥 예전 스마트폰 5핀 충전기!), SD카드입니다!
다른 센서 같은 것은 필요할 때 조금씩 모으는 걸로 하고 기본만 사왔습니다.
나머지 랜선이나 HDMI, SD카드 리더기는 있으니 구매는 X
이 라즈베리파이로 뭘 할까 고민하다 친구의 도움을 많이 많이 받아 NAS를 구성해보려 합니다.
필자는 따로 Synology사의 NAS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취미로 구성합니다.
이번 포스팅은 OMV 설치를 목표로 합니다! (저도 전문인이 아니라서 잘 몰라요ㅎㅎ 배워가는 입장이라 최대한 간단히 설명해 보겠습니다!)
본격적으로 OMV를 설치해봅시다ㅎ
필요 준비물입니다!
- 1. 라즈베리파이(하드웨어)
- 2. Windows or macOS(소프웨어 & 하드웨어)
- 3. OMV4 RaspberryPi용 img파일 (소프트웨어)
- https://sourceforge.net/projects/openmediavault/files/Raspberry%20Pi%20images/로 들어가셔서 Raspberry Pi imags를 클릭, OMV4 Raspberry Pi ~.img.xz를 다운로드합니다. 아마 국내에서는 접속이 안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저도 다운받으려 들어갔다가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고 표시돼서 VPN 켜고 열심히 다운받았거든요ㅎㅎ 혹시나 파일이 다운로드 안된다! 이럼 댓글에 메일 주소 남겨주세요. 제가 메일로 해당 파일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- 4. SD Card Formatter(소프트웨어, 다운 안 받아도 지장 없음)
- https://www.sdcard.org/
- 5. BalenaEtcher(소프트웨어)
- https://www.balena.io/etcher/
- 6. Micro SDcard 16GB 이상 U1 이상 (하드웨어, 개인적으로 샘성 SDcard Evo Plus를 추천합니다. 필자는 EVO 32GB입니다) 및 리더기
- 7. 키보드 마우스(하드웨어,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지만 ssh로 연결해서 할 것 아니면 웬만하면 준비해주세요ㅎㅎ)
- 8. 랜선 및 공유기(하드웨어)
- 9. 파워서플라이(하드웨어)
- 10. Time
어우야 막상 써보니까 많네요 ㅎㄷㄷ
첫 번째로 해야 할 일은
1. 부팅 SD카드 만드는 것입니다!
자, 이제 SD카드를 리더기에 꽂고 컴퓨터에 연결해줍시다~
SD Card Formatter을 통해 SD카드의 파일을 싹 날려줍시다ㅎㅎ(후련)
저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디스크 관리를 통해 포맷해도 되고 CMD로 포맷해도 되고, 내 컴퓨터에서 그냥 포맷시켜도 됩니다ㅋㅋ 저는 혹시나 해서 프로그램을 이용한 것뿐이에요! (뭐니 뭐니 해도 macOS의 디스크 유틸리티가 최곱니다)
BalenaEtcher을 실행시켜주세요. img파일은 xz붙은 상태 그대로 넣어주고 플래쉬할 SD카드를 선택, Flash!를 차례대로 눌러줍시다. 몇 분 후 디스크를 포맷해야한다는 경고와 함께 SD카드 플래쉬가 끝납니다!
2. 이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와 연결하고 랜선을 공유기와 라즈베리파이에, HDMI를 이용해 모티터 연결, 키보드 연결해주고 마지막으로 전원을 연결시켜 라즈베리파이의 전원을 켭니다! (랜 연결과 전원연결은 필수O!! HDMI와 키보드는 필수X!!)
쭈루루루룩~ 진행되다 사진과 같이 login이 뜨면서 입력이 뜨면 성공!
안뜨면 저 과정을 다시 반복해 주세요ㅎㅎ(해맑)
3. 라즈베리 파이의 IP를 알아냅니다.(요런 라즈베리파이를 만지신다는 것은 IP주소정도는 어떻게 찾는지 아시죠?ㅎㅎ 모르시면 안되요~~)
4A-1. 같은 네트워크상의 컴퓨터(그냥 아까 작업하던 컴퓨터로 하면 됩니다. 데스크톱이나 놋북은 왠만하면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이기 때문이죠)의 인터넷에 해당 IP를 입력해 접속합니다.
사진과 같이 뜨면 성공!
안뜨면 또 다시 위 과정을 반복해 주세요ㅎㅎㅎ
초기 ID와 Password는 다음과 같습니다~
ID : admin
Password : openmediavault
4A-2. 들어가셔서 SSH -> 루트 로그인을 허용합니다. 체크를 해주시면 SSH로 root계정으로 접속가능합니다.
4A-3. 윈도우의 PuTTY 프로그램이나, 맥의 터미널, Commend+Shift+K의 새로운 원격 연결을 통해 라즈베리 파이와 연결해 주세요.
4A-4. 그 후 괄호안에있는 명령어로 관리자(passwd admin), root(passwd root) 비번을 바꿔주시면 됩니다!
이렇게 해주셔도 되구, 모니터를 연결하고 키보드를 연결한 것이 이유가 있어서 했겠죠?ㅎㅎ
저는 귀찮아서(이놈의 귀차니즘....)
4B-1. 바로 라즈베리파이에서 로그인합니다.
ID : root
Password : openmediavault
4B-2. 로그인하면 바로 비밀번호를 변경하라고 뜹니다. 비밀번호를 변경 후 다시 root와 관리자 비밀번호를 특수문자 제외!! 하고 바꿔주시면 됩니다.
오류납니다!!! 이것때문에 재설치ㄷㄷ
왜 특수문자를 제외하냐면 키보드 레이아웃이 달라 !를 쳤는데 다른 예를들어@ 입력됬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
5.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하기위해 raspi-config로 들어가 봅시다. 이미 root계정이니까 sudo명령어는 필요 없겠죠.
# raspi-config
요래 쳤는데 안된다? raspi-config가 설치(?)되지 않은 것 입니다.
# apt-get update
# apt-get install raspi-config
를 통해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
이후 다시
# raspi-config
를 입력합니다. 그럼 사진과 같은 창이 뜰 것입니다.
근데 요래도
E: dpkg was interrupted, you must manually run 'sudo dpkg --configure -a' to correct the problem.
또는
dpkg was interrupted, you must manually run 'dpkg --configure -a' to correct the problem.
요로케 뜨면서 실행이 안된다?! 리부팅을 해도 안된다?!
# sudo rm /var/lib/dpkg/updates/*
를 실행하고 다시 위 명령어를 넣으시면 해결됩니다.
raspi-config에 들어가셔서
6. 4 Localisatioin Options -> 3 Change Keybaord Layout -> Generic 105 Key (Intl) PC -> Other -> Korean -> Korean(101/104 key compatibale) -> 그 다음은 계속 엔터치고 넘어가시면 됩니다.
하면 레이아웃 설정 끝!
7. 다시 root와 관리자 비밀번호를 이제는 특수문자 포함!!(보안상 유리) 해서 재설정 해줍시다.
그냥 SSH로 하시면 특수문자 오류 해결됩니다.(귀차니즘이 이래서 문제야....)
조금 더 자세한 것은 저도 공부해봐야 겠네요ㅎㅎ
기대됩니다~
+ 라즈베리파이 케이스~
'Tip > Raspberry Pi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터치스크린 3.5인치 후기 (0) | 2019.05.29 |
---|